티스토리 뷰

소설가 아멜리 노통브는 새벽 4시에 일어나서 글을 쓴다. 누가 시켜서 그러는 게 아니다. 그 시간이 가장 글이 잘 써지기 때문이란다. 괴테 역시 새벽 5시 전에 일어났다고 한다. 그렇다면 위대한 사람들은 모두 아침형 인간인가? 하면 꼭 그렇지도 않다. 희대의 천재 아인슈타인은 하루에 10시간 넘게, 아주 푹 잤다.

 

왜 우리의 출근시간은 이렇게 9시 또는 8시로 고정되어 버린 것일까? 산업화 이전에 인류는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잠들었다. 그래야 농사를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공무원복무규정은 농경사회의 관습을 그대로 따랐다. 공무원의 근로시간은 9시부터 18시까지이다. 기업들 역시 공무원들의 근무 시간에 맞추어 그 시간, 또는 그 비슷한 시간으로 출퇴근 시간을 정했다. 개개인의 생체리듬이나 기업 특성 같은 것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시차로 인해 밤에 더 할 일이 많은 해외영업부서가 9시에 출근해서 밤늦게까지 일하는 비극적인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얼리 버드, 아침형 인간, 9시 출근 이런 것들은 죄다 농경사회가 남긴 낡은 관습일 뿐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그렇게 살지 않는 편이 훨씬 합리적이다. 때문에 독일에서는 50% 이상의 피고용자가 자신의 출근 시간을 알아서 정한다. 한국의 몇몇 잘나가는 IT기업도 마찬가지다. 인간은 누구나 고유한 생체시계를 가지고 있다. 근무시간을 잘 지키는 성실한 직원이 성공한다고? 개소리다. 정작 그런 소리를 하는 꼰대들이 근태가 엉망인 경우가 많다. 인간은 그저 자기 고유의 생체시계에 맞추어 살아야 한다. 그러는 편이 성공할 확률도 더 높다.

 

예를 들어보자. 출근 시간에 맞춰 억지로 전철에 몸을 싣고 꾸벅꾸벅 조는 회사원과, 일어나고 싶은 시간에 일어나서 슬렁슬렁 사무실에 얼굴을 비추는 사장 중에 더 성공한 쪽은 어느 쪽인가? 당연히 사장이다. ‘아니, 그건 사장이니까 그렇게 할 수 있는 거지!’ 하고 반박한다면 그건 순진한 생각이다. 인과관계는 완전히 반대이다. 사장은 자신의 생체시계에 맞춰 살아온 덕분에 사장까지 된 것이다. 게 바로 회사에서 정해놓은 출근시간을 기를 쓰고 지키면서, 퇴근시간에는 눈치를 보며 사무실을 떠나지 못하는 직원과 사장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시간을 멋대로 써라. 회사 사장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시간을 멋대로 쓸 권리가 있다. 느지막이 일어나 사무실에 얼굴을 비춰라. 그게 좀 눈치가 보이면…… 사무실 후미진 창고에 들어가서 잠이나 한숨 더 자라. 가장 좋은 방법은 회사를 때려 치고 퍼질러져 자는 것이다. 일어나고 싶은 시간에 일어나고, 배고플 때 맛있는 음식을 먹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만 만나고,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사는 이유다. 얼굴도 잘 모르는 어느 임원이 결정한 일을 하기 위해 사는 게 아니다.

'조까세의 그림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더 울프  (4) 2018.01.17
#7. 경청의 기술  (7) 2018.01.16
#5. 독립하세요  (11) 2018.01.12
#4. 바쁘세요?  (5) 2018.01.11
#3. 응급구조사의 딜레마  (2) 2018.01.10
댓글